본문 바로가기
IT지식

서버리스 아키텍처의 장점과 활용 사례와 도입해야 할 이유

by 플레잉박스 2025. 2. 22.

서버리스 아키텍처란?

IT 인프라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기업들은 보다 효율적이고 유연한 애플리케이션 배포 방식을 찾고 있습니다. 서버리스(Serverless) 아키텍처는 이러한 변화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서버 관리 없이 코드 실행에 집중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컴퓨팅 모델입니다.

서버리스를 활용하면 개발자는 서버 인프라 설정, 유지보수, 확장성 문제를 걱정할 필요 없이 코드 실행과 애플리케이션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버리스 아키텍처의 개념, 장점과 단점, 주요 서비스, 그리고 실제 활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서버리스 아키텍처 개념

1) 서버리스(Serverless)란?

서버리스 아키텍처는 서버를 직접 운영하지 않고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모든 인프라 관리를 담당하는 컴퓨팅 방식입니다.

주요 특징

  • 서버 관리 불필요: 서버 설정, 유지보수, 확장성을 클라우드 제공자가 자동으로 처리
  • 이벤트 기반 실행: 특정 이벤트(예: HTTP 요청, 데이터베이스 변경 등)가 발생하면 코드가 실행
  • 자동 확장(Auto Scaling): 부하가 증가하면 자동으로 리소스를 추가하고, 트래픽이 줄어들면 비용이 절감
  • 종량제 과금(Pay-as-you-go): 실행한 코드에 대해서만 비용이 부과됨

2) 서버리스 vs 기존 서버 방식 비교

구분기존 서버 방식서버리스(Serverless)

서버 관리 직접 설정 및 유지보수 클라우드 제공자가 관리
확장성 수동 확장(Scaling) 필요 자동 확장(Auto Scaling)
비용 상시 서버 운영 비용 발생 사용한 만큼만 과금
실행 방식 지속적인 서버 실행 이벤트 기반 실행

 

2. 서버리스 아키텍처의 장점과 단점

1) 서버리스의 장점

비용 절감

  • 서버를 지속적으로 실행하지 않고, 필요할 때만 실행되므로 운영 비용 절감
  • 클라우드 제공자가 리소스를 최적화하여 효율적으로 사용

운영 부담 감소

  • 개발자는 인프라 설정이나 유지보수를 신경 쓰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 가능

빠른 배포 및 확장성

  • 코드만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실행되며, 트래픽 증가 시 자동 확장(Auto Scaling)

높은 가용성(High Availability)

  • 클라우드 제공자가 다중 리전(Region)에서 실행되도록 지원하여 장애 발생 확률이 낮음

2) 서버리스의 단점

콜드 스타트(Cold Start) 문제

  • 서버리스 함수는 요청이 들어올 때 로드되므로, 첫 실행 시 지연 시간(Latency)이 발생할 수 있음

벤더 종속성(Vendor Lock-in)

  • AWS Lambda, Azure Functions, Google Cloud Functions 등 클라우드 환경에 따라 구현 방식이 달라 클라우드 제공자에 의존적

모니터링 및 디버깅 어려움

  • 서버리스 환경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로그가 클라우드에서 관리되므로, 디버깅 및 성능 모니터링이 어렵다

 

3. 주요 서버리스 서비스 소개

서버리스 아키텍처를 구현하려면 주요 클라우드 제공자의 서비스들을 활용해야 합니다.

1) AWS Lambda

  •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서버리스 서비스
  • Node.js, Python, Go, Java 등 다양한 언어 지원
  • Amazon API Gateway, S3, DynamoDB와 연동 가능

2) Google Cloud Functions

  • Google Cloud에서 제공하는 서버리스 기능
  • Firebase, Pub/Sub, BigQuery 등과 연동 가능

3) Azure Functions

  • Microsoft Azure에서 제공하는 서버리스 서비스
  • .NET, Python, JavaScript 등 지원
  • Office 365, Teams, Dynamics 365와 연동 가능

4) Cloudflare Workers

  • 빠른 응답 속도를 자랑하는 엣지(Edge) 서버리스 컴퓨팅
  • 웹 애플리케이션과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연동에 적합

 

4. 서버리스 아키텍처 활용 사례

1) 웹 애플리케이션 백엔드

서버리스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백엔드를 구축하는 데 적합합니다.

  • AWS Lambda + API Gateway를 활용해 REST API 구성
  • Firebase Functions를 활용한 실시간 데이터 처리

2) 데이터 처리 및 분석

서버리스 환경에서는 이벤트 기반 데이터 처리가 용이합니다.

  • AWS Lambda + DynamoDB를 활용한 로그 분석
  • Google Cloud Functions를 활용한 데이터 변환

3) 챗봇 및 AI 서비스

  • 서버리스 환경에서 AI 모델을 실행하여 챗봇 구현 가능
  • AWS Lambda + Amazon Lex를 활용한 AI 챗봇 구축

4) IoT(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 IoT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서버리스 환경에서 분석 및 저장
  • AWS Lambda + AWS IoT Core 활용 가능

 

5. 서버리스 도입 시 고려할 점

서버리스 아키텍처는 장점이 많지만, 도입 전에 몇 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콜드 스타트 해결 방법

  • 함수를 미리 실행해 두는 "프로비저닝된 동시성(Provisioned Concurrency)" 옵션 활용

로그 및 모니터링 강화

  • AWS CloudWatch, Google Stackdriver 등을 활용해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강화

보안 고려 사항

  •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역할을 활용해 최소 권한 부여
  • API Gateway를 활용해 인증 및 접근 제어 구현

 

서버리스는 미래형 아키텍처

서버리스 아키텍처는 비용 절감, 운영 부담 감소, 빠른 확장성 등의 장점 덕분에 많은 기업과 개발자가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콜드 스타트 문제, 벤더 종속성, 모니터링의 어려움 등의 단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웹 애플리케이션 백엔드, 데이터 분석, AI 서비스, IoT 분야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서버리스는 매우 유용한 기술입니다.
✅ 서버리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AWS Lambda, Google Cloud Functions, Azure Functions 같은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를 잘 이해하고, 적절한 활용 전략을 마련해야 합니다.

💡 "서버리스(Serverless) 아키텍처는 단순한 유행이 아닌, 미래의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이다."
지금부터 서버리스를 배우고 활용해 보세요! 

댓글